의료/정형외과 (OS) 12

관절 움직임의 종류

관절 움직임의 종류   굴곡(Flexion) & 신전(Extension) 굴곡: 관절을 구부려 각도를 줄이는 움직임 (예: 팔꿈치를 접는 동작) 신전: 관절을 펴서 각도를 증가시키는 움직임 (예: 무릎을 펴는 동작)   외전(Abduction) & 내전(Adduction) 외전: 신체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임 (예: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기) 내전: 신체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임 (예: 다리를 모으는 동작)   회전(Rotation) 뼈가 중심 축을 따라 회전하는 움직임 (예: 목을 좌우로 돌리는 동작) 내회전(Internal Rotation): 신체 안쪽으로 회전 외회전(External Rotation): 신체 바깥쪽으로 회전   회선(Circumduction) 원을 그..

정형외과(OS) 수술에 사용되는 스크류(Screw)와 금속판(plate)

정형외과(OS) 수술에 사용되는 스크류(Screw)와 금속판(plate)  정의Screw : 나사, 두 물체를 고정하는 장치Plate : 판금, 금속판정형외과에서 사용되는 스크류와 플레이트는 부러진 두 뼈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구들fixation : 정착, 고정(OS에서는 고정이라는 뜻이 이해하기 쉬움)reduction : 정복(뼈가 부러지거나 빠졌을 때 원 위치로 돌려주는 의미)callus : 가골, 뼈가 골절이나 손상으로 장해를 입었을 때, 손상 부위에 새로 생긴 불완전한 골조직granulation tissue : 새살조직, 육아조직distracting force : 분산된 힘, 분산압박diaphyseal : 뼈 몸통 수술 종류크게 OR/IF와 CR/IF로 나뉜다.OR/IF : Open Red..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CL reconstruction)

무릎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ACL reconstruction) ACL : Anterior Cruciate Ligament 무릎 전방십자인대 정의 무릎 관절내 중심에 십자형태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인대 뒤쪽으로 후방십자인대가 배치 경골(정강이뼈, 무릎 관절 아래뼈)과 대퇴골(허벅지뼈, 무릎 관절 위뼈)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 손상 원인 운동이나 높은 곳에서 착지할 때, 빨리 달리다가 멈출 때, 갑자기 방향 전환을 할 때 무릎이 비틀리거나 꺾이면서 발생 외적인 요소(교통사고나 타박상 등)도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음 증상과 진단 손상 직후는 통증과 붓기로 걷는데 있어 불편함 발생 무릎이 잘 구부려지지 않음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 기본적인 골절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를..

무릎 인공관절 대체 수술 (TKR, Total Knee Replacement)

무릎 인공관절 전치환술 (TKR, Total Knee Replacement) (TKA, Total Knee Arthroplasty) 정의 굳어버린 무릎과 관절을 금속과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 적응증 연골의 말기 손상 관절염으로 인해서 일상 생활에 지장이 되는 통증이 유발되는 경우 퇴행성 관절염, 외상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수술 후 장점 극심한 통증은 가라앉고 일상생활이 가능해짐 특징 인공관절의 한계는 10~15년 정도로 예상 절개부위는 10~20cm정도의 크기 (집도의와 상황마다 절개부위의 크기가 다름) 수술 후 재활치료가 필요 수술 과정 무릎 부근으로 절개를 시행 Patella(무릎뼈)를 개방하고 안쪽 뼈를 삭골 무릎 연골을 제거하고 Tibia(정강뼈)와 Femur(대퇴, 넙다리뼈) 삭골 삭골..

무릎 관절 절골술 (HTO, High Tibia Osteotomy)

무릎 관절 절골술 (HTO, High Tibia Osteotomy) 적응증 퇴행성 관절염 : 다리가 휘어 O자형 다리인 경우 슬관절의 체중 부하가 한쪽으로 편향되어 있는 경우 증상 슬관절의 부종이나 동통 무릎이 O자형 다리로 변형 퇴행성 관절염이 초기거나 중기의 환자 진단 X-RAY 사진으로 판단이 가능 : 서있는 상태에서 고관절 중심에서 발목관절 중심까지 직선을 그었을 때, 무릎관절의 중앙 부위를 일직선으로 통과해야 일자다리로 판단 직선이 무릎 안쪽으로 통과되면 O자형 다리(내반변형)로 분류 수술 방법 폐쇄성 절골술 : 무릎 아래 경골 바깥쪽 뼈를 쐐기(대략 세모모양)으로 잘라내고 다시 붙여주는 수술 개방성 절골술 : 무릎 아래 경골 안쪽 뼈에 금을 내서 벌리고 빈공간은 자가뼈나 인공뼈로 채운 뒤 그 ..

발 뼈 해부학 (Foot bone anatomy)

발 뼈 해부학 (Foot bone anatomy) Malleolus = 복사뼈, 복숭아뼈, Lateral과 Medial로 외측과 내측으로 구분할 수 있음 Calcaneus = 종골, 발뒤꿈치뼈 Cuboid = 입방뼈 Navicular = 주상골 Cuneiform = 쐐기뼈, 이 뼈를 포함한 위쪽 뼈들은 족근골 Metararsal = 발허리뼈, 중족골 소속 Phalanx = 발가락뼈, 손가락뼈와 명칭이 같음 Great Toe = 엄지발가락, Proximal과 Distal이 존재, Distal은 발톱이 있는 엄지발가락뼈를 의미 발가락뼈들은 지골의 소속으로 들어감 출처 : https://orthopaedia.com/page/Anatomy-of-the-Foot-Ankle Anatomy, Foot & Ankle:..

반월상 연골판 손상 (Meniscal tear)

반월상 연골판 손상 (Meniscal tear) Meniscus = 반월상 연골판, 무릎 연골 tear = 손상, 파열 (OS에서 손상과 파열의 의미로 사용) ACL(Anterior Cruciate Ligament) = 전방 십자 인대 MCL(Medial Cruciate Ligament) = 내측 측부 인대 Meniscus 4.7mm의 높이, 얇은 연골 대퇴골(Femur)과 Tibia(경골) 사이 존재 Lateral(외측)과 Medial(내측) 두 개로 구성 Lateral(외측)은 "O" 모양으로 Medial(내측)은 "C" 모양으로 이루어 짐 Anterior horn과 Posterior horn으로 나뉘기도 함 기능은 충격 흡수와 체중을 무릎 관절에 분산, 부상 방지, 인대 보조를 통한 안정성 제공 부..

손 뼈 해부학 (Hand bone anatomy)

손 뼈 해부학 (Hand bone anatomy) Phalanges = 손가락 뼈, 지골 Metacarpal (MC) = 손바닥 뼈 Carpal bones = 팔목뼈, 수근골 Hamate = 유구골, 외측(새끼 손가락 부분), 갈고리 모양 Triquetral = 삼중골, Hamate 뼈와 연결되며 아래 위치 Pisiform = 두상골, 손바닥에서 만져지는 뼈, 새끼손가락 아래쪽으로 손목 위에서 튀어나온 뼈 Lunate = 월상골, 오목한 초승달 모양, 손목 움직임에 관여 Trapezoid = 소능형골, 작은 마름뼈, 둘째 손허리뼈(MC)의 안정적인 바닥 역할 제공 Trapezium = 대능형골, 큰 마름뼈, 첫째 손허리뼈(MC)의 바닥과 관절 Capitate = 유두골, 알머리뼈, 손목뼈 중 가장 큼, ..

어깨 뼈 해부학 (Shoulder bone anatomy)

어깨 뼈 해부학 (Shoulder bone anatomy) Clavicle = 쇄골뼈 Sternoclavicular joint = 흉쇄관절, 쇄골과 1번 늑골 사이의 관절 Acromion = 견갑골 바깥쪽 돌기 끝 Acromioclavicular join = Acromion과 Clavicle의 관절 Coracoid = 오훼골, 오탁골, 쇄골 아래쪽에 위치 Glenoid cavity = 얕은 홈 공간 Humerus = 상완뼈 Scapula = 견갑골 Labrum = 오목 테두리, Glenoid의 깊이를 가장 많이 기여 출처 : https://www.theskeletalsystem.net/shoulder-bones Shoulder Bones - Names, Anatomy, & Labeled Diagram L..

팔 뼈 해부학 (Arm bone anatomy)

팔 뼈 해부학 (Arm bone anatomy) Clavicle = 쇄골 Scapula = 어깨뼈, 견갑골 Humerus = 상완뼈, 위팔뼈 Radius = 요골, 노뼈, 아래팔 바깥쪽 뼈 (손바닥을 보였을 시) Ulna = 척골, 자뼈, 아래팔 안쪽 뼈 (손바닥을 보였을 시) Carpus = 손목뼈 Metacarpus = 중수골, 손허리뼈, 손목과 손가락 사이 부분의 뼈 Phalanges = 수지골, 손가락뼈 Humeral greater tubercle = 상완 큰결절 (head 부분은 어깨와 맞닿은 부분) Humeral lateral epicondyle = 상과, 상박골 끝쪽에서 중앙 또는 측면의 돌출물 (바깥쪽) Humeral medial epicondyle = 상과, 상박골 끝쪽에서 중앙 또는 측..